정부, 치료제 3만8000회분 예산 362억원 배정
美 머크사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선구매 협의
치료제 1인당 90만원 호가…”전액 국가 부담”
“선구매 물량 늘려야” vs “백신 접종 집중해야”
먹는 코로나 치료제가 올해 내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백신 접종율을 최대한 올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과 최대한 많은 양의 치료제를 조기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1인당 90만원을 호가하는 가격도 문제로 지적된다.
1급 감염병인 코로나19는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치료 비용을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3일 “예방접종 시행 과정에서 일부 본인 부담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코로나 치료는 전액 국가가 지원한다. 건강보험과 국가 예산을 통해 전체 치료 과정을 국가가 부담하고 있어서 실제적인 국민의 비용 부담은 없다”고 말했다..
현재 먹는 치료제 개발에 가장 앞선 제약사는 미국 머크사로, 이르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목표로 임상 3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화이자사, 스위스 로슈사도 각각 임상 3상에 돌입했다.
국내에서는 먹는 치료제 11개를 포함해 22개가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 받았으며, 진원생명과학의 2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등에 있어 개발 성공 여부는 내년이 돼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질병청은 “아직 개발 속도와 효과를 판단할 수 있을 만한 시기가 아니다”란 입장이다 .
정부는 경구용 치료제 도입을 위해 올해와 내년 총 3만8000여명분에 예산 362억원을 배정해 머크사를 비롯한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선구매를 협의 중이다.
그러나 치료제 가격이 고가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현재 배정된 예산은 1인당 90만원을 가정한 액수다.
배경택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10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아직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라 계약 사항에 대해 다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90만원이 아니라 9만원도 비싼 것 아니냐’는 질문에 “사실 그 부분은 맞는 것 같다”고 답해 치료제가 고가임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먹는 치료제를 드시지 않게 되면 병원에 입원하거나 생활치료센터를 가야 한다. 그런 경우 들어가는 직접적인 비용과 경제적 활동을 못하는 데 따른 비용을 계산해 비교해서 평가해야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지난 6월 미국 정부는 12억 달러를 들여 머크사의 경구용 치료제 170만명분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는데, 1명(1코스)당 700달러 가량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약사의 가격 책정 자체가 높았던 셈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10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기밀유지 협약에 따라 가격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치료제 별로 가격이 다르게 책정될 것”이라면서도 “외국의 항체 치료제 가격도 400~500만원을 호가한다. 먹는 치료제 가격이 특별히 높은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김복두 itn@itn.ne.kr
< © I T 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